안녕하세요. 오늘도 시험 영어에 방문 주신 것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올해(2022) 수능 영어 문제 하나를 준비하였습니다. 바로 35번 문제 글의 순서 추론입니다. 순서 추론은 그렇게 쉽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이 아니기에 오늘의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수능 영어 정복하기
수능 영어는 단순 번역만을 해서는 정답을 찾아내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이에 따라 우리는 어느 정도의 언어 논리와 수능이라는 시험의 기술을 적절히 번역과 결부시켜 완벽한 독해를 만들어 나가야 하겠습니다.
◆ 순서 추론 문제
순서 추론은 해석으로는 여러 가지가 다 맞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불러오는 대표적인 문제이며, 수험생들은 이미 경험 하였겠지만 분명 이것도 정답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실제 수능에서도 이에 대한 이의제기는 되지만 인정이 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만큼 수능은 명백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부분을 찾으려 노력해야 합니다. 순서 추론의 기본은 다음 글들을 참고해 주세요.
2021.11.09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36~37번 글의 순서 파악 해법
수능 영어 36~37번 글의 순서 파악 해법
오늘은 수능 문제 36번 문제와 37번 문제에 대해 어떤 해결책을 제시해보는 포스팅 한번 해보려 합니다. 오답률이 생각보다 높은 문제이며 수험생들이 그다지 좋아하지도 않는 그런 유형의 문제
dejaya23456.tistory.com
2021.11.13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문제 - 순서 추론 실전 문제 풀이
수능 영어 문제 - 순서 추론 실전 문제 풀이
오늘 우리가 알고 가려는 사항은 저번 글의 순서 파악 기본 이론에 이어서 실전 문제 풀이 시간입니다. 순서 추론은 수능에서 중요하면서도 굉장히 어렵게 다가오는 부분이라 말해드렸습니다.
dejaya23456.tistory.com
◈ 올해 수능(2022) 영어 영역 35번 순서 추론 문제 풀이
올해 35번은 어떻게 기출 되었는지 한 번 보겠습니다. 앗! 먼저 시험지를 준비해 주세요.
일단 순서 추론에서 선지 1번은 배제하고 생각하시는 게 훨씬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아주 가끔 1번이 정답이 되기도 하지만, 그것 때문에 시간이나 확률적 장점을 버리기엔 아쉽다는 생각입니다.
그렇게 되면 (B)와 (C)가 위의 박스랑 어떻게 연결되는지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위의 박스 먼저 보지 마시고 (B)와 (C)에서 첫 문장의 힌트를 공략합니다.
(B)에서는 so(결과) 가격 증가라는 부분이 눈에 보입니다. (C)에서는 The results가 보입니다. 정관사에 초점을 두시고 results가 복수라는 것도 요즘에 자주 기출 하는 스타일이니 기억해 주세요.
이제 박스를 보시면 박스는 It~that 강조 구문을 사용하였고 ~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격 증가입니다. 그러면 이 상황에 무엇을 먼저 논리적으로 선택할까요? 네, (B)를 하시는 게 좋아 보입니다.
(B)가 정답이 아니라 틀린 이유를 찾지 못하겠다는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그다음 (C)에서 The results 힌트 활용합니다. (B) 두 번째 줄에 result in이라는 동사 나와서 (B) 다음 (C)라고 생각 많이 하셨을 텐데요.
result in 다음 A or B 구조로 나와 있습니다. 이 말은 결과가 둘 이상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제 (A)에서의 힌트를 잡아야 하는데요. (A)에서 결정적인 도구는 such입니다.
such 이미 수능에 여러 번 기출 하였는데 이번에도 기출함으로써 such가 여전히 대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uch green taxes였기에 green taxes를 앞 문장에서 찾아야 했습니다.
이때 주의하셔야 하는 부분 하나 말해드립니다. 아주 쉽게 다른 보기에서 green taxes가 그대로 나오는 경우만 생각하시면 안 된다는 점이지요. paraphrasing의 형태로 비슷한 내용을 연결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B) 끝 문장에서 the money raised through the taxes부분에서 연결하여야 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B)-->(A)는 완성하였습니다. 그러면 이제 (C)는 자동적으로 마지막이 되는데요.
아쉬우니 하나 더 풀자면 (C)에서 The results는 (A)에서 많은 예시들 열거에서 연결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최종은 (B)-->(A)-->(C) 되겠습니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허락하시는 분들은 번역해서 맞추어 보시길 바라며, 시간적 여유가 없으면 그냥 찍는 것보다는 좋은 방법이니 믿고 그대로 실천해 보시길 바랍니다. 충분한 연습이 있어야 내 방법론이 된다 기억해 주세요.
오늘은 이렇게 올해 수능 36번 순서 추론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부디 연습 잘하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으셨으면 합니다. 저는 다른 문제로 돌아오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수능 영어 뿌셔뿌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익 기출 핵심 단어 동사 시리즈 144 - insert (0) | 2022.03.05 |
---|---|
올해 수능(2022) 영어 영역 34번 문제 분석 (0) | 2022.01.26 |
수능 영어 주제, 요지 문제가 예시문으로 시작하는 경우 (0) | 2022.01.23 |
수능 영어 빈칸 추론 - 반복의 힘을 믿어보자 (0) | 2022.01.22 |
수능 영어에서 gene과 experience의 활용 (0) | 2022.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