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뿌셔뿌셔

올해 수능 2022년 영어 영역 - 31번 빈칸 추론 분석

by ET-T 2021. 12.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시험 영어에 방문해 주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오늘은 올해 수능 2022년도 31번 문제인 빈칸 추론 문제를 한 번 분석해 보려 합니다. 빈칸 추론은 단순 번역만으로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래서 어는 정도의 전략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 수능 영어 정복

 

수능 영어 문제는 단순한 접근법으로는 문제를 맞히기가 어렵습니다. 그만큼, 단순 번역이 아니라 전략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전략에는 시험의 기술도 일부 적용돼야 하고 언어 논리도 일부 필요합니다. 

 

번역과 독해는 다른 부분입니다. 번역은 단순히 영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지만 독해는 읽고 이해하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읽고 이해하는 독해를 잘하려면 번역, 기술, 논리가 접목이 되어야 합니다. 어떻게 이 부분을 할 수 있을지 오늘 한 번 알아봅니다. 

 

◆ 빈칸 추론

 

빈칸 추론은 수능 영어의 꽃이라 할 만큼 문제가 멋진데요. 혹자는 이런 식의 문제에 대해 비판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객관식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유일한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만큼 쉽게 느껴지는 문제가 아니기에 수험생들이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저의 경험으로는 이 부분이 즐겁게 느껴지는 학생도 보았다는 점이며, 오히려 이 유형을 다른 문제보다 더 풀고 싶다 느끼는 학생들도 보았습니다. 

 

일단 기본 편을 먼저 봐주시길 추천드립니다. 

 

2021.10.31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독해 방법론 - 빈칸 추론 1 - 같은 부분을 찾아라

 

수능 영어 독해 방법론 - 빈칸 추론1 - 같은 부분을 찾아라

이제 수능이 한 달 안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제 마지막 정리 위주로 학습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수능 영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빈칸 추론에 대해 한 번 알아보려 합니

dejaya23456.tistory.com

2021.11.01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독해 - 빈칸 추론 2 - 핵심 찾기

 

수능 영어 독해 - 빈칸 추론 2 - 핵심 찾기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역시 빈칸 추론에 관한 내용입니다. 빈칸 추론에 관해서는 정말 해야 할 얘기가 많은데요. 오늘도 역시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로 구성해 봅니다. 지난

dejaya23456.tistory.com

 

◈ 올해 2022년 31번 분석

 

올해 문제 분석을 위해 시험지를 반드시 옆에 두시고 오늘의 포스팅 봐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기본 편을 보셨다면 빈칸 부분의 초점이 있는 해석을 하셔야 합니다. 이때 초점이 있는 해석이란 어느 부분이 빈칸인지, 즉 소재 부분을 찾아라는 것인지 아니면 주제를 찾아라는 것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31번 문제는 not to provide ______로 구성돼 있었습니다. 이 부분과 같거나 비슷한 부분이 아래든 위에든 존재한다는 논리를 적용시키시면서 움직여야 합니다. 지금의 빈칸은 제일 아래 부분이니 분명 빈칸 위의 부분에서 같은 부분이 있겠지요.

 

이때도 분명 같은 부분이 존재하는 곳은 수능이 좋아하는 언어 도구들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문제에서는 첫 번째 같은 부분이 as long as 부분에 있었습니다. 

 

as long as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정답이 많이 발견됩니다. 아무튼, 그 부분에서 not concerned  with부분이 보이는군요. 

 

이 부분에서 첫 정답의 힌트가 나옵니다, 본인의 시험지로 확인해 보세요. 어떤 단어가 정답과 비슷한 성격을 보이는지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서는 Indeed였습니다. Indeed의 영영 정의를 한 번 봅니다.

 

Indeed 

used to stress
the truth of a statement

Merrian-Webster's 참조

 

indeed는 단순히 사실은 이라고 번역할게 아니라 영영의 정의처럼 진술의 사실 부분을 강조한다는 느낌으로 우리가 잘 보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역시나 이 부분에 보면 correct라는 단어가 보입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단서에서 우리는 정답을 accurate로 잡을 수 있었던 문제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올해 수능 2022년 31번 문제 분석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부디 2학년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이며 저는 다른 문제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