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뿌셔뿌셔

올해 수능(2022) - 복합 장문 43~45번 문제 분석

by ET-T 2021. 12.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고해드린 대로 올해 수능(2022) 43~45번 문제 복합 장문 문제 분석의 시간입니다. 세 개의 문제로 끝에 배치되어 있어서 시간의 압박감을 많이 느끼는 문제라고 말해드렸는데요. 과연 올해 수능 문제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오늘 한 번 분석해 봅니다. 

 

◇ 수능 영어 정복하기

 

우리는 수능이라는 시험을 단순 번역만을 해서는 다 맞출 수도 없고, 시간의 압박감도 많이 느끼게 되는 시험이라는 것을 먼저 인지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의 번역도 중요하지만 기술이나 언어 논리학의 개념도 적용이 되어야 하는 시험이라 생각됩니다.   

 

◆ 43~45번 문제 복합 장문 문제 

 

복합 장문 문제는 세 개의 문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순서 배열, 지칭 추론, 일치 불일치 문제로 말이죠. 특히나 순서 배열은 앞의 문제에서도 거부감이 들 정도로 쉽지 않기에 장문에서 또 나오는 것이 그렇게 달갑게 여겨지지 않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다 해결이 가능합니다. 심리적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먼저 기본을 안 보신 분들은 링크로 들어가셔서 반드시 읽어주시고 오늘의 포스팅 이어가 주세요.

 

2021.12.04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해결책 - 43~45 복합 장문

 

수능 영어 해결책 - 43~45 복합 장문

안녕하세요. 오늘 분석해볼 수능 영어 문제는 바로 43~45번에 배치되어 있는 복합 장문 유형이 되겠습니다. 이 유형은 세 문제로 구성되어 있고 가장 긴 지문이어서 그런지 쉬운데도 불구하고 오

dejaya23456.tistory.com

 

◈ 올해 수능(2022) 43~45번 문제 복합 장문 문제 분석

 

먼저 43번 순서 배열입니다. 일단 선지 1번은 머릿속에서 지워주어야 빠르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A)는 빠른 속도로 해석을 해주시면서 전체 분위기를 생각해 줍니다. 이때 지칭의 (a)도 주인공이라는 사실 기억해 주세요. 아무리 사람이 많이 나와도 (a)는 주인공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번 수능에도 (a)는 주인공 Anna입니다. 그리고 제일 마지막 내용은 코라를 기다리고 있니?입니다. 

 

그다음 우리가 생각하는 부분은 바로 이 글 순서는 마지막이 좋게 혹은 교훈적으로 혹은 뭔가 깨달음을 얻는 내용으로 마무리가 된다는 점인데요. (B), (C), (D) 중에 끝이 이런 식으로 되는 것은 확인해 보시면 (B)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측은 (B)가 제일 끝에 배치될 듯합니다. 그리고 (A)의 끝은 질문이었고 수능은 이것을 자주 활용하는데요. (C)의 첫 문장의 시작이 answer the question입니다. 이런 식의 연결은 자주 되는 편이니 꼭 기억해 주세요. 그래서 정답은 (C)-(D)-(B)입니다. 

 

지칭 문제에서도 재미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분명 주인공은 Anna입니다. 그런데 (c)는 Anna really liked (c) her입니다. 그러면 (c)는 분명 Anna가 아니지요. 이때 빨리 의심하시고 다른 것 하나만 확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다른 것도 Anna이기에 정답 역시 (c)였습니다. 

 

마지막 일치 불일치인데요. 순서와 관련 없이 차례대로 선지가 나오기 때문에 선지 1번은 통상 (A)입니다. 2번은 통상 (B)입니다.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확인해 주시면 되는데요. 이 문제는 앞의 일치 불일치처럼 굳이 선지 5번부터 볼 이유는 없습니다.

 

1번은 어차피 제외하였으니까 2번부터 보시면 되고 surprised를 보시고 놀라지 않았다를 못 선택하시지는 않을 것이라 판단되며 정답 바로 나온 케이스입니다. 제가 기본 포스팅에 선지가 부정으로 되어있는 경우를 눈여겨보아야 한다고 했었습니다. 백 프로는 아니지만 지금의 케이스에서도 활용하여 이 부분 잘 보셨으면 빨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올해 수능(2022) 복합 장문 세 문제에 대한 분석을 해보는 시간으로 꾸며보았습니다. 앞으로 2023년도 수능을 준비하시는 현 고2 학생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길다고 기죽지 마세요. 길수록 쉬워지는 특징도 있습니다. 늘 감사드리고 저는 다른 문제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