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뿌셔뿌셔

수능 영어에서 실험, 연구, 조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by ET-T 2021. 11. 15.
반응형

수능에서는 전통적으로 실험, 연구, 조사에 대한 글이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이번 6월과 9월 모의평가를 보아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능 영어 문제에서 우리가 이런 소재에 대한 글을 만났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한 번 논의해 보려고 합니다. 자!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수능 영어 정복

 

◆ 실험, 연구, 조사를 어떻게 받아들이지?

 

실험, 연구, 조사는 수능 영어 시험에서 주제, 제목, 요지, 밑줄 함의 추론, 순서, 요약, 장문 거의 전체에 걸쳐서 기출 되는 소재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의외로 정답이 쉽게 찾아지기 때문에 우리는 이 부분은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 실전 적용

 

실험-연구-조사-활용문제1
예제1

 

실험, 연구, 조사가 순서 문제로 나온 경우입니다. 순서에서는 B와 C를 먼저 보셔야 하는데요. 이 문제는 조금 다른 케이스였지요. 실험에 관련된 문제였거든요. 박스에서 어떤 화제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논증을 하기 위해 과학자의 이름을 하나 인용하는 B부터 출발하며 이 과학자가 어떠한 실험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한 내용인 C가 그다음이 됩니다.

 

그리고 이런 실험의 결과를 도출하여 글은 마무리가 되며 정답은 B-C-A가 되는 문제입니다. 해석을 하시더라도 반드시 의미 있는 해석이 되어야 하는데 그냥 한국어로 바꾸는 해석만을 하시면 별로 좋지 못하다 말해드립니다. 

 

 

 

실험-연구-조사-활용문제2
예제2

 

다음 문제는 실험, 연구, 조사가 주제, 요지, 제목으로 나오는 경우입니다. 자! 이경우의 문제를 한 번 판단해 봅니다. 글의 시작 부분을 번역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의 유형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실험, 연구, 조사는 어떤 결론이 나오고 필자는 분명 이것들의 결과를 물어보는 문제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가 나오면 끝 단락을 잘 보라 말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정답률도 굉장히 높게 나옵니다.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제일 큰 효과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해석을 너무 믿지 마세요. 정말 정확한 번역도 가끔 자신만의 지식 때문에 주관적 사항이 들어가게 되어 선지 두 개가 혼동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오늘 이렇게 실험, 연구, 조사가 수능 영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연도 6월과 9월을 잘 보세요. 이와 관련된 문제가 제법 있습니다. 그때 본인은 어떻게 풀었는지 생각해보시고 오늘 내용을 접목시켜 자신만의 문제 스킬을 길러나가시길 바랍니다. 저는 다른 수능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관련 있는 글

 

2021.11.05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남은 기간 수능 문법은 이것만 봅니다

 

남은 기간 수능 문법은 이것만 봅니다

이제 정말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이 되면 더 하고는 싶은데 실제 몸이 따라주지 않아서 곤혹스러운데요. 이런 상황에서도 마음을 잡고 하려고 하는 모든 입시생 여러분에게 조금

dejaya23456.tistory.com

2021.11.06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남은 기간 우리가 반드시 봐야 하는 수능 영단어 creative / reactive

 

남은 기간 우리가 반드시 봐야 하는 수능 영단어 creative / reactive

오늘은 얼마 남지 않은 수능을 위해서 남은 기간 동안 볼만한 수능 영어 단어에 대한 얘기로 포스팅 진행해 보려 합니다. 너무 많은 것을 암기하면 안 되는 시점이기도 하고 그럴만한 물리적 시

dejaya2345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