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뿌셔뿌셔

올해 수능(2022) 영어 영역 33번 문제 분석

by ET-T 2022. 1.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시험 영어에 방문해 주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오늘은 수능 영어 문제를 분석해 보려 합니다. 그중에서 올해 수능(2022) 33번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빈칸 추론인데요. 과연 어떤 식으로 접근했어야 하며 이를 통해서 앞으로 수능은 어떻게 준비하여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수능 영어 정복하기

 

수능 영어는 매번 말해드리지만 단순 번역해서는 정답을 맞혀 내기가 힘이 듭니다. 이것은 많은 원어민들도 단순 해석하여 틀리는 경우를 많이 보셨기에 충분히 공감하시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시험 영어 대부분 그러하듯 어느 정도의 시험 기술과 언어 논리가 번역과 접목이 되어야 해결되는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 수능 영어 빈칸 추론

 

수능 영어에서 빈칸 추론은 수능 영어의 꽃이라 불릴 정도로 중요한 부분이라 볼 수 있습니다. 빈칸 추론을 잘 해결하면 1등급이 가능하다고 까지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빈칸 추론의 기본기가 중요한데요. 

 

다음의 기본 포스팅을 반드시 참조해 주세요.

 

2021.10.31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독해 방법론 - 빈칸 추론 1 - 같은 부분을 찾아라

 

수능 영어 독해 방법론 - 빈칸 추론1 - 같은 부분을 찾아라

이제 수능이 한 달 안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제 마지막 정리 위주로 학습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수능 영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빈칸 추론에 대해 한 번 알아보려 합니

dejaya23456.tistory.com

2021.11.01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영어 독해 - 빈칸 추론 2 - 핵심 찾기

 

수능 영어 독해 - 빈칸 추론 2 - 핵심 찾기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역시 빈칸 추론에 관한 내용입니다. 빈칸 추론에 관해서는 정말 해야 할 얘기가 많은데요. 오늘도 역시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로 구성해 봅니다. 지난

dejaya23456.tistory.com

 

기본 포스팅 내용을 종합해 간략하게 설명드리면 빈칸 추론은 같은 부분 찾기라는 별칭을 가질법한 문제 유형이므로, 빈칸 부분과 같은 부분이 아래든 위에든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같은 부분은 수능이 좋아하는 어떤 논리적 도구에서 좀 더 찾을 가능성이 있기에 우리는 그런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올해 수능(2022) 33번 문제 분석

 

올해 수능 33번 문제의 빈칸은 S must have the right to _________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주어가 ~한 권리를 지녀야 한다는 해석이 되는 문장이었습니다. 

 

아마도 앞의 문장이 해석이 되지만 정확한 그림이 그려진다고 보기는 힘들었을 문제입니다. 이 말은 해석을 하면 대부분 이런 결과를 받았을 것이라 말해드리는 건데요.

 

이러면 대부분 긴장을 하면서 가슴이 두근 거리며 대충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 의미로 선지를 선택해 버립니다. 어떤 문제 해결하는 규칙이 전혀 없게 됩니다. 

 

해석을 통한 독해가 실망스럽더라도 포기하지 마시고 차분히 이런 빈칸 부분과 같은 부분을 찾으려 노력해 보세요. 이번 33번 문제의 같은 부분은 제일 마지막 부분이었습니다. 

 

말장난을 조금 하기는 했지만 must allow users to devise their own regulations 부분이었습니다. 이 같은 부분 찾기가 수월해지도록 만들었던 수능이 좋아하는 도구는 바로 allow 목적어 to 부정사 구문이었습니다. 

 

상당히 많은 문제의 정답들이 allow 목적어 to 부정사 구문에서 나온다는 사실 알고 가셨으면 합니다. 아무튼, 권리를 가진다는 것은 허용해 준다는 것으로 말을 바꾸어 놓았다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결국 devise their own regulations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선지에서 찾아내야 했던 문제입니다. 그것을 선지에서는 규칙을 만들어내는 의사 결정에 참여한다라고 달리 표현했던 문제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올해 수능(2022) 영어 영역 33번 문제를 한 번 분석해 본 시간이었습니다. 2023 수능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이며 저는 다른 수능 이야기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