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뿌셔뿌셔

2021 11월 24일 시행 고2 전국 연합 영어 분석 - 18, 19, 20번

by ET-T 2021. 11. 26.
반응형

앞서 11월 24일 고1 문제 분석에 이어 이번에는 고2 영어 문제 18, 19, 20번 문제를 한 번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이 문제에 관해서는 차별을 두실 필요가 없는 유형들입니다. 오늘 이 문제들 분석을 통해 앞으로 시험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알아봅니다. 

 

◇ 수능 영어 정복하기

 

◆ 11월 24일 고2 문제 분석 - 18, 19, 20번

 

매번 말해드리지만, 일단 문제를 같이 보시면서 따라와 주시면 효과가 더 커진다는 말해드립니다. 그리고 기본 편 안 보신 분들은 반드시 봐주시고 오늘 포스팅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2021.11.25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2021 11월 24일 시행 고1 전국 연합 분석 - 18, 19, 20번

 

2021 11월 24일 시행 고1 전국 연합 분석 - 18, 19, 20번

안녕하세요. 오늘은 11월 24일 시행한 전국 연합 고1 영어 문제 18, 19, 20번에 대한 풀이를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문제 분석글을 올리고 있고 오늘의 분석도 이전 분석을 토대로 한 번 분석해

dejaya23456.tistory.com

 

◈ 18번 문제

 

2021.07.21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독해 18번 문제 글의 목적 해결책

 

수능 독해 18번 문제 글의 목적 해결책

오늘은 수능 독해 부분에서 제일 첫 문제 18번 글의 목적에 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이 문제는 과연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기대해 주시면서 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수능 독

dejaya23456.tistory.com

 

이번 시험의 18번 문제 역시 중간 아래에서 힌트를 찾아보아야 했는데요. 어떤 힌트를 주고 있었을까요? 글의 목적을 드러내는 표현 중에 I think / I believe / I suppose 등의 표현을 많이 활용하는데요. 이번 문제의 힌트는 바로 think였네요. think 다음에 unacceptable은 받아들이지 못한다. 즉, 거절이나 반대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2번입니다. 

 

학생들 중에 1번이랑 혼동이 되었다고 얘기를 하는 친구도 있었는데요. 글이 중단인지 변경인지만 초점을 두고 파악하면 됩니다. discontinue service는 서비스 중단이지 변경이 아닙니다. 

 

◈ 19번 문제

 

2021.07.22 - [수능 영어 뿌셔뿌셔] - 수능 독해 19번 문제 인물 심경, 글 분위기 해결책

 

수능 독해 19번 문제 인물 심경, 글 분위기 해결책

오늘은 수능 문제 19번 인물 심경, 글 분위기에 대한 해결책에 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실 오답이 거의 없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언급을 할 이유가 있어서 포스팅하게 되었습니

dejaya23456.tistory.com

 

이번 19번 문제도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았던 문제입니다. 다만,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 첫 단락에 우리가 보고 가야 하는 단어는 anticipation 기대감입니다. 마지막에 우리가 꼭 보고 갔어야 하는 부분은 트럭이 치인 거 같은 기분이라는 부분이었으며 정답을 1번으로 빨리 선택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갔어야 합니다. 

 

◈ 20번 문제

 

2021.07.24 - [분류 전체보기] - 수능 영어 독해 20번 필자의 주장 해결책

 

수능 영어 독해 20번 필자의 주장 해결책

오늘은 수능 영어 독해 문제 20번인 필자의 주장에 대한 방법론을 소개하려 합니다. 이 문제 역시 시간은 짧게 가져가면서도 정확도는 올려야 하는 문제입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수능 독

dejaya23456.tistory.com

 

1학년 문제는 조금 달랐지만 풀이 순서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2학년 문제는 일반 수능에서 요구하는 것처럼 첫 문장에서 부정적 느낌이 들게 하고 있어요. 그러면 우리는 중간 아래에서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지 찾아야 했지요. 그때 그 해결책은 분명 문제가 좋아하는 어떤 부분과 같이 있다고 늘 말해드리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부분이었을까요?

 

제일 아랫부분에 should는 정말 수능 영어에서 좋아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그 뒤의 숙어는 keep in mind로 명심하다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나 정답이야 이런 말이지요. 그 부분 보시면 제한적인 부분이 문장의 핵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한되어있다는 것은 많이 없다는 말이며, 많이 없다는 것은 희소성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11월 모의고사 고2 영어 문제를 분석해보고 앞으로 어떻게 이 문제들에 대비해야 할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포스팅은 계속됩니다. 기대해 주시길 바라며 저는 다른 문제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